JSON이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

경량의 데이터 교환 형식이라는 뜻이다.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 XML을 대체해서 데이터 전송 등에 많이 사용한다.

 

이 형식은 사람이 읽고 쓰기에 용이하며, 기계가 분석하고 생성함에도 용이하다.

 

자바 스크립트 언어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다음의 규칙은 익숙할 듯 싶다.

JSON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 JSON 객체는 중괄호 블록 '{', '}' 으로 표기한다.

 - JSON 배열은 대괄호 블록 '[', ']' 으로 표기한다.

 - 속성(Key)과 값(value)은 쌍을 이룬다.

 - 속성과 값이 쌍을 이룰 때는 콜론 ':'으로 구분한다.

 - 속성이 여러개인 경우 콤마 ',' 로 구분한다.

 - 속성은 쌍따옴표 '"'로 묶어 표기하며, 값은 자료형에 따라 표기한다. 예) "name" : "장진우", "age" : 27

 

   

 

 

JSON 문법을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 몇가지만 말해볼까한다.

 

 1. JSON은 순수 데이터 포맷이기 때문에 오직 프로퍼티만 담을 수 있다. (Method는 담지 못한다.)

 2. JSON 데이터 구성시 큰 따옴표만을 사용해야한다. (작은 따옴표는 사용불가)

 3. 콤마나 클론을 잘못 배치 할 경우, 문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통] Proxy 설정하기 (Feat. Putty)  (0) 2021.01.05
[공통] log4j 설정 및 적용하기  (0) 2021.01.05

Jar란 Java archive의 약자로 자바 클래스 파일과, 그 클래스들이 이용하는 리소스 및 META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모아서 ... 음 그냥 자바프로젝트를 실행가능하게 패키징했다 라고만 알아두자........엌

 

먼저 흔히들 사용하는 Eclipse나 IntelliJ를 이용하여 Jar로 빌드해보자

필자는 Eclipse를 사용했다.

 

먼저 간단한 자바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자.

 

 

com.jwj.sample 패키지 안에 있는 RunMain 이라는 클래스를 생성하고,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지 확인한다.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가 되었으니, 해당 프로젝트를 Jar로 만들어보자.

 





 

위의 화면을 참조하여 Jar로 export 한다.

 

이젠 Jar를 실행하는 것만 남았다.

cmd를 켜서 Jar가 생성된 경로로 이동해보자.

 

이동이 번거롭다면 해당 디렉토리에서 cmd로 이동을 하면 된다.

 

그 후, Java -jar jar파일명.jar 명령어를 실행하면 해당 jar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간단하다.

 

하지만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Java의 기본적인 클래스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았다.

 

다음글에서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Jar로 만들어 실행하는 것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저번 글에서 Apache Camel을 이용을 하면 소스가 대폭 줄어든다고 했었는데 (https://nuji-94.tistory.com/12)

이번 글에선 예제를 통해 순수JAVA와 Camel의 소스를 비교해보겠다.

 

 

경로 C;/dev/logqueue/camel-exam 에 존재하는 camel-exam.txt 라는 파일의 내용을 읽어 Console창에 출력하여라. 라는 예제를 구현해보겠다.

 

먼저, 해당 경로에 camel-exam.txt 파일을 만든 후

위의 사진과 같이 파 일 읽 기 라는 내용을 넣었다.

 

 

순수 JAVA 소스로 파일의 내용을 읽는 소스는 다음과 같다.



 

-------------------------------------------------------------------------

 

다음은 Camel을 이용한 소스이다.



 

환경을 구성하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구현을 해놓으면 훨씬 더 간편하다. (글쓴이만의 생각 일 수도 있다ㅠ)

 

어떤가, 자네 Camel 한번 해보지 않겠는가?

 

 

 

'Framework > Apache Cam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Camel] Apache Camel 이란?  (0) 2021.01.05

Apache Camel

Apache Camel Home Page - http://camel.apache.org/

 

 

EIP(Enterprise Integration Pattern)에 기반한 open source Java framework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I/F와 연동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

그림과 같이 일반 어플리케이션에서 외부 I/F와 연동하기 위해서는 각 I/F와 맞는 라이브러리나 API를 내장시키고, 시간을 들여 그에 맞는 기술을 익혀야 한다.

 

 

그에 반해, Apache Camel을 내장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위의 그림과 같이 Camel을 통해 외부 I/F와 손쉽게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Camel은 외부I/F와 연동을 위해 수백 가지 Component를 제공하고 있어 소스가 대폭 줄어들고, 그에 따라 개발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Apache Camel Component - http://camel.apache.org/components.html

 

Apache Camel 의 장점

1. JAVA 어플리케이션에 내장 가능한 경량 프레임워크

2. 어플리케이션의 내부에서 외부 I/F와 손쉽게 연동 할 수 있게 해줌

3. 많은 종류의 Camel-compornent를 이용하여 소스 대폭 감소 및 개발 시간 단축

 

Apache Camel 의 단점 (글쓴이 생각)

1. 초기 구축이 좀 복잡한 편이다.

2. 참고 자료 중 국내 자료가 거의 없는 편이다.(진입장벽이 높음)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