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ON이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

경량의 데이터 교환 형식이라는 뜻이다.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 XML을 대체해서 데이터 전송 등에 많이 사용한다.

 

이 형식은 사람이 읽고 쓰기에 용이하며, 기계가 분석하고 생성함에도 용이하다.

 

자바 스크립트 언어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다음의 규칙은 익숙할 듯 싶다.

JSON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 JSON 객체는 중괄호 블록 '{', '}' 으로 표기한다.

 - JSON 배열은 대괄호 블록 '[', ']' 으로 표기한다.

 - 속성(Key)과 값(value)은 쌍을 이룬다.

 - 속성과 값이 쌍을 이룰 때는 콜론 ':'으로 구분한다.

 - 속성이 여러개인 경우 콤마 ',' 로 구분한다.

 - 속성은 쌍따옴표 '"'로 묶어 표기하며, 값은 자료형에 따라 표기한다. 예) "name" : "장진우", "age" : 27

 

   

 

 

JSON 문법을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 몇가지만 말해볼까한다.

 

 1. JSON은 순수 데이터 포맷이기 때문에 오직 프로퍼티만 담을 수 있다. (Method는 담지 못한다.)

 2. JSON 데이터 구성시 큰 따옴표만을 사용해야한다. (작은 따옴표는 사용불가)

 3. 콤마나 클론을 잘못 배치 할 경우, 문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통] Proxy 설정하기 (Feat. Putty)  (0) 2021.01.05
[공통] log4j 설정 및 적용하기  (0) 2021.01.05

Putty를 이용한 Proxy 설정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른다.

 

프록시 서버는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들을 캐시를 이용하여 저장해 둔다. 이렇게 캐시를 해 두고 난 후에, 캐시 안에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요청에 대해서는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전송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불필요하게 외부와의 연결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외부와의 트래픽을 줄이게 됨으로써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쉽게 말하면, A컴퓨터와 C컴퓨터 사이에 B컴퓨터를 놓고 서로 B컴퓨터를 통해 A,C가 통신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설정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Putty 설정

 

1. Putty 왼쪽 기능에 SSH -> Tunnels 로 들어오면 오른쪽과 같은 화면이 노출 됨

2. Source port 에는 아무런 값을 넣어주고, Dynamic으로 설정 후 Add를 한다.

3. 접속을 한다. (Putty를 통해 SSH 또는 SFTP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서버에 로그인한 상태여야 함)

 

 

2) 인터넷 설정

 

 

1. 인터넷 옵션 -> LAN 설정을 클릭 한다.

 

2. 상단의 사진과 같이 체크하고 고급 버튼을 클릭 해 Proxy 설정에 들어간다.

 

3. 인터넷 익스플로어의 입장에서 보면 SSH Client는 서비스를 대신 해 주는 역할을 하므로 Proxy라 할 수 있으며,

   양측은 소켓을 이용하여 접근하므로 그림과 같이 구성 할 수 있다.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통] JSON이란?  (0) 2021.01.05
[공통] log4j 설정 및 적용하기  (0) 2021.01.05

pom.xml에 의존성 추가하기

 

참조 : https://mvnrepository.com/ -> apache log4j 검색

 

 

src/main/resources 경로에 log4j.xml 설정파일 만들어주기 

(구조만들기 참조 : https://nuji-94.tistory.com/8)

 

log4j.xml 파일 내용

 

PatternLayout의 패턴 정의

 

PatternLayout에서 로그를 출력할 때 사용할 패턴을 정의.

프로퍼티 이름은 ConversionPattern 이다.


###############################################

# FaTAL : 가장 크리티컬한 에러가 일어 났을 때 사용합니다.
# ERROR : 일반 에러가 일어 났을 때 사용합니다.
# WARN : 에러는 아니지만 주의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 INFO : 일반 정보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DEbUG : 일반 정보를 상세히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
#%p  debug, info, warn, error, fatal 등의 priority 가 출력된다.  
#%m  로그내용이 출력됩니다 
#%d  로깅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을 기록합니다.
#  포맷은 %d{HH:mm:ss, SSS}, %d{yyyy MMM dd HH:mm:ss, SSS}같은 형태로 사용하며 SimpleDateFormat에 따른 포맷팅을 하면 된다 
#%t  로그이벤트가 발생된 쓰레드의 이름을 출력합니다.  
#%%  % 표시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한다.  
#%n  플랫폼 종속적인 개행문자가 출력된다. \r\n 또는 \n 일것이다.  
#%c  카테고리를 표시합니다 
#  예) 카테고리가 a.b.c 처럼 되어있다면 %c{2}는 b.c가 출력됩니다. 
#%C  클래스명을 포시합니다. 
#  예)클래스구조가 org.apache.xyz.SomeClass 처럼 되어있다면 %C{2}는 xyz.SomeClass 가 출력됩니다 
#%F  로깅이 발생한 프로그램 파일명을 나타냅니다. 
#%l  로깅이 발생한 caller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L  로깅이 발생한 caller의 라인수를 나타냅니다 
#%M  로깅이 발생한 method 이름을 나타냅니다. 
#%r  어플리케이션 시작 이후 부터 로깅이 발생한 시점의 시간(milliseconds) 
#%x  로깅이 발생한 thread와 관련된 NDC(nested diagnostic context)를 출력합니다. 
#%X  로깅이 발생한 thread와 관련된 MDC(mapped diagnostic context)를 출력합니다. 

#######################################################################

 

log4j 예시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통] JSON이란?  (0) 2021.01.05
[공통] Proxy 설정하기 (Feat. Putty)  (0) 2021.01.05

+ Recent posts